국민대학교

국민인! 국민인!!

"선배님~선배님!"- 이태복(법70,보건복지부장관)선배님과의 소중한 만남


 

“선배님~~~, 선배님!!!”

"똑바로 해 ,이것들아~~~"

 여기가 분장실이냐고? 아니다. 이곳은 바로 국민대학교! 

 

 9월 24일 목요일 이태복(법과대학 79학번, 전보건복지부 장관) 선배님께서 법학특강의 강연자로서 국민대학교 강단에 서셨다. 후배 국민인들에게 뼈가되고 살이 되는 말씀을 남기셨고, 후배들 역시 멋진 질문들로 선배님과 소통했다.

 필자는 선배님의 강연을 들으며 한 개그프로그램의 유행어가 이렇게 와닿을 수가 없었다. 선배님의 삶을 통해 스스로 다짐한 것은 '더 열심으로 지금보다 더 똑바로 하자.' 였으니까. 과연. 어떤일이 있었던 것일까? 지금부터 “선배님, 선배님”에서 만나보도록 하자.

 

 

Part 1. 이태복 선배님께서 들려주는 그, 이야기

 

 

1. 젊은 시절의 꿈이 높을수록 높이 간다
 “ 제가 입학할 당시, 국민대학교 법학과의 위상은 대단히 높았어요. 그리고 법학과 중 노동법의 커리큘럼이 있었던 몇안되는 학과이기도 했구요.
 법과대학 교수님들께서 다른 친구들처럼 사법고시를 보라고 하셨지만 사실 나는 그것보다 더 큰 꿈을 가지고 있었어요. 더 큰 꿈이 있었기에 청와대 복지부 수석을 거쳐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2. 폭넓은 지식, 깊은 교양
 “ 폭넓은 지식과 깊은 교양을 갖추어야 합니다. 저는 도시락 2개를 싸가지고 다니며 도서관에서 책을 읽고 공부를 했어요. 자신의 전공 서적만이 아닌 성곡도서관의 문학·예술·경제 등 모든 학문에 기본서가 되는 책들은 꼭 다 읽어 보기를 권해요. 나는 성곡도서관의 책을 마스터하고 나서 국회도서관으로 출·퇴근을 하기 시작했죠.”

3. 번잡한 일상의 재미를 포기할 줄 알아야 한다
 “ 자기 자신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분명 포기해야 하는 것이 있어요. 친구들과의 만남과 노는 시간을 줄이고 그 시간에 열심히 공부해야하는 것이죠. 새벽까지 책을 읽고 잠들고 아침 일찍 일어났어요. 지금은 술을 마시지 않지만 그 때, 술은 좀 먹으러 다녔던 것 같네요. (웃음)”

4. 자기의 확실한 목표! 자신을 튼튼히
“ 나는 박정희 정권 때, 학생운동을 했어요. 리더가 되어 서울대 ·고려대 학생들과 함께 반독재 민주화운동을 주도했죠. 대학교 2학년 때 학교에서 제적돼 강제입영 되었는데, 군복무를 마치고 나서 다시 학교로 돌아올 수 있었어요.
 그런데 군복무를 마친 뒤, 고민했었어요. 계속 학문적인 공부를 할 것인가, 아니면 현장에서 노동운동을 경험할 것인가.  그리고 결정했어요. ‘아, 노동자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야겠다!’ 그래서 용산 시장의 지게꾼을 거쳐 구로, 부평, 포항, 부산 사상공단 등 전국 각지에서 현장 경험을 했어요. 그 때, 학문적으로 공부하는 것보다 노동시장을 경험해야한다는 것이 더 나은 것임을 스스로 확실히 하고 현장으로 뛰어들었죠.”

5. 뜻을 같이하는 ‘벗’을 찾아내라
“ 대학시절 세상을 함께할 수 있는 벗을 찾는 게 중요해요. 성장과정 중 대부분의 사람들이 개인 중심·자기중심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게 되죠. 다른 사람을 양보하고 배려해주지 못하는 사람은 평생 불행한 일이예요. 적어도 이 국민대학교에서 자신과 뜻이 맞는 친구 3명은 찾고 사회에 나가길 바라요.”

6.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이 있는 사고방식을 가져라 - “어떻게”가 중요
 “ 내가 꿈을 이룰 수 있는 가장 큰 이유예요, 내가 보건복지부 장관 시절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안들을 내놓을 수 있었어요. 나는 민주화를 위해 운동했고, 노동법을 공부하면서도  '공장가서 밑바닥에서 고생해보자' 했죠.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해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에 ‘경험’보다 큰 것은 없죠.
 지금 제가 진행 중인 운동 중 하나가 노인복지에 대한 운동이에요, ‘노인들 틀니는 의료보헙 적용 대상으로 해야 한다’는 추상적인 주장만을 하는 것이 아닌 “ 이 3000억원이라는 예산을 어떻게 만들 수 있고, 정책에 쓸 수 있는지 대안을 제시하고 전개시키고 있죠.”

 

 

 Part 2. 후배들과의  소통하다


1.  1970년대와 2009년의 학생운동은 분명 다른 색채를 띄고 있어요. 요즘 학생 운동을 보자면 대부분 ‘비판’에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이 점에서 후배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다면?
 “ 나는 ‘도산 안창호’ 선생님을 존경하는데, 그 이유는 공리공론을 지양하고 실천하시는 분이기 때문이죠.
 앞서 말했듯이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이 있는 사고방식을 갖는 것이 중요해요. 많은 한국 사회가 명분론에 빠져있어요. 이제는 독특한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경험하고 지식을 쌓아서 그 문제에 대해 어떤 해결방안이 있을지 스스로 찾아내는 것이 중요해요.”

 

2. 장애인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자원활동을 하고 있는데요, 장애인문제에 관해 내가 어떻게 해나갈 수 있는지 많은 고민이 듭니다. 선배님께서는 노동현장으로 뛰어드셨을 때,  그 경험 속에서 선배님께 무엇을 가장 크게 느끼셨는지 궁금해요.


 “ 가장 큰 것은 자신감이 생겼다는 거예요. 사실 현장으로 뛰어들기 전에 밑바닥에서 고생해보자 했지만, 내가 후회하면 어떻게 하지라는 생각도 들었던 것이 사실이었거든요.
 
 한 유명한 제철소에서 일하고 있을 때였는데, 휴가를 보내주면서 해수욕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텐트와 건빵 2봉지와 사이다만을 주었죠. 무자비적인 착취와 모순된 현실을 느꼈고,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방법을 찾게 되는 계기가 되었어요.
 장애인문제에 대해서도 현실성 있는 대안을 찾기 위해  외국의 장애인의 사례 등과 장애인들의 기본생활비가 낭비되는 부정적인 사례들도 찾아보시면서 더 많이 공부하시고, 이 문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지 연구해보세요.”

 

 


 이태복 선배님과 함께 하는 1시간 30분의 소중한 시간은 더 큰 열매로 돌아오리라 확신했다.  30년 후, 나도 국민인의 이름으로 후배들과 더 깊은 소통을 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선배가 될 수 있을까? 도산 안창호 선생님의 이 한마디를 실천할 줄 안다면 분명, 가능하리라!

 

 

"모든 일은 참되고 실속이 있도록 애써 실행하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