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인! 국민인!!
[세계일보] 박맹우 전국시도지사협의회장/박맹우(행정학과 76) 동문 | |||||||
---|---|---|---|---|---|---|---|
―올해부터 0∼5세 무상보육 정책이 시행됐고, 기초연금 도입을 앞두고 있다. 복지정책이 늘어나면서 지방자치단체가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 지방재정 문제를 외면하다가는 지방정부발 재정위기까지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된다. 지방재정난, 어느 정도인가. “1995년 지방자치가 출범한 이후 20여년이 다 되어 가지만, 아직도 지방재정은 어렵고 실질적인 지방자치는 실현되지 않고 있다. 원인은 간단명료하다. 수입은 크게 늘지 않고 지출은 빠르게 늘어난 탓이다. 현재 국세와 지방세 비율은 8대 2이다. 국세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 보니 지자체의 재정자립도가 급격히 하락했고, 지방세 수입으로 인건비를 충당하지 못하는 지자체도 절반을 넘는다. 여기에 경기침체, 증가하는 복지예산으로 지방재정난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가 최근 지방정부에 대한 영유아보육료의 국고 기준보조율을 10%포인트만 올리는 방안을 확정했다. 지자체들은 올해 상반기부터 재원 부족을 호소하며 무상보육 중단 가능성을 경고했다. “영유아보육사업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절반씩 재원을 부담하고 있다. 그런데 국민최저생활보장과 관련된 기초생활보장은 국비분담비율이 79%이다. 이 때문에 지난해 11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도 영유아보육료의 국고 기준보조율을 현행 50%에서 70%으로 상향 조정할 것을 의결했다. 지자체의 요구 역시 재원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지 않으려면 최소한 70%로 확대돼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지자체와 협의 없이 전 계층으로 무상보육을 확대한 만큼 이에 대한 책임도 져야 한다.” ―65살 이상 노인 소득하위 70%에게만 10만∼20만원을 차등 지급하는 기초연금 도입에 따른 추가재정 확보도 문제다. 지자체가 재원의 25%를 부담해야 하는데. “기초연금제도의 도입 취지는 동의한다. 하지만 지방이 내년엔 8000억원, 2015년엔 1조6000억원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열악한 지방재정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추가적으로 지방재정부담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가 설계되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보편적 복지이므로 전액 국비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사회복지정책을 중앙이 결정하고 지방이 재원을 분담해야 하는 방식은 반드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취득세율 인하에 따른 지방세수 감소액 2조4000억원을 지방소비세 전환율을 현행 5%에서 11%로 올려 감당하면 된다고 한다. 이를 두고도 의견차가 있다. “2009년 정부는 부가가치세의 5%를 지방정부로 돌리는 지방소비세를 도입하면서 올해 5%포인트 추가 인상을 약속했었다. 이미 약속한 인상분에 취득세 감소분 보전을 위한 인상분 6%포인트를 더해 지방소비세 전환율을 16%로 하는 것이 맞다. 또 취득세 감소분 보전을 위한 인상분 6%포인트가 줄어드는 취득세를 전부 보전하지 못할 경우 이에 대한 추가 재원마련이 필요하다. 전국 지자체의 지방세 감소분이 충분하지 못하게 보전되는 일도 없어야 한다. 지방재정이 뒷받침돼야 지자체가 발전하고 지방자치제가 정착할 수 있다.” ―18일 열린 총회에서 논의된 ‘중앙-지방 협력회의’가 중앙과 지방의 의견차를 줄일 한 방법인가. “정책을 결정할 때 중앙부처의 의견뿐 아니라 정책집행자인 지방의 의견도 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정책집행과정에서의 혼란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집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할을 중앙-지방 협력회의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선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한데, 국회에 발의돼 있는 중앙-지방 협력회의 설치법 제정안이 조속히 통과되길 바란다. 같은 의미로 지방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창구를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 시도지사협의회장을 국무회의에 정기 배석시켜 지방관련 주요 현안에 대한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방자치가 발전하려면 무엇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1951년 울산 출생 ▲경남고, 국민대, 경남대 석사, 동의대 박사 ▲1981년 제25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경남 함안군수 ▲울산 내무국장 ▲영호남도지사협의회장 ▲광역시장협의회장 ▲3선 울산시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