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

뉴스플러스

[만났습니다]②국민대 기술이전 수입 1위…"실사구시 학풍 주효"

2015년 전체 재학생 대상 코딩교육 의무화…‘실사구시’ 중시
교수평가서 산학협력 강화, 기술이전하면 논문 없이도 승진
“구성원 80%가 동의 안하는 정책은 실패…소통 중시할 것”

임홍재 국민대 총장(사진=김태형 기자)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최근 교육부가 공시한 대학 기술이전 수입에서 국민대가 전국 1위를 차지하며 대학가를 놀래켰다. 국민대가 작년 한 해 벌어들인 기술이전 수입은 57억8477만원으로 성균관대(50억1551만원)와 서울대(42억2688만원)를 앞질렀다.

기술이전 수입은 대학 연구역량을 가늠하는 지표 중 하나다. 특히 대학의 보유한 원천기술의 실용성을 평가할 땐 기술이전 수입료를 보면 된다. 교수들이 가진 아이디어가 논문이 되고 이 중 일부가 특허로 등록되는데 이 중 활용가치가 높은 기술은 기업으로 이전된다. 대학의 원천기술이 혁신적 제품을 탄생시키는 것.

국민대의 기술이전 실적은 `실사구시(實事求是)` 학풍이라는 밑거름이 있었던 덕이다. 국민대는 4년 전부터 전교생을 대상으로 코딩교육을 의무화하고 있다. 2015년부터 국민대에 입학한 학생은 인문·예체능계 등 비(非)이공계도 컴퓨터 프로그램 교과목을 이수해야 졸업 가능하다. 프로그래밍 기술이 정보통신(IT)분야를 넘어 인문·사회·예술 등 전 분야와 융합해가는 현실을 반영한 셈. 임홍재 총장은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인문사회계 학생이 창의력이나 상상력 면에서 이공계 학생을 앞설 수 있다”며 “인문학이나 상상력을 토대로 만든 프로그램이 실용적 가치를 갖는다”고 했다.

이러한 학풍은 연구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 국민대는 4년 전부터 교수 업적평가에서 산학협력 실적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연구과제 수주나 기술이전 수입을 연구논문 실적과 동등하게 평가하기 시작한 것. 임 총장은 “산학협력 실적을 쌓으면 논문을 쓰지 않아도 승진이나 승급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했다”고 말했다. 연구업적 평가에서 산학협력 비중이 커지자 교수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기업에서 실용화가 가능한 기술을 찾고 이에 대한 연구에 천착, 결국 기술이전수입에서도 두각을 나타낸 것이다.

지난 9월 임기를 시작한 임 총장은 자신의 재임 중 산학협력분야에서 만큼은 국내 정상권 대학으로 도약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산학협력으로 승부를 걸고 여기에서 성공해 대학의 도약을 이끌 것”이라고 했다.

임 총장은 총장으로 취임하기 이전부터 교내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다. 2008년 산학협력단장을 시작으로 교무처장·대학원장·교학부총장 등을 거치며 애교심을 키웠고 총장에도 도전했다. 그는 “학내에서 보직교수를 맡으면서 대학의 위기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게 됐고 학교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대학이 외부 평판도와 세계대학평가 순위를 올리려면 연구역량을 갖추는 게 필수적이다. 하지만 임 총장은 이를 강제로 밀어붙이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는 “어떤 정책을 추진할 때 내부 구성원의 80%를 설득하지 못하면 그 정책은 실현되기 어렵다”고 했다. 대신 자율과 책임을 강조한다. 단과대학별로 학문적 특성을 살리는 자율경영체제다. 그는 “단과대학 스스로 발전계획과 목표를 제시하면 교수 연구업적 평가기준을 완화하거나 탄력 적용하고 있다”며 “대신 신규 교수 임용이나 학과장 인선에 대해서는 간섭을 하는 편”이라고 했다. 4차산업혁명에 대비해 반드시 필요한 학문분야에서 신임 교수를 임용토록 하고 신임 교수에게는 연구할 기회를 마련해주고 있다는 의미다.

원문보기: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00486622685720&mediaCodeNo=257&OutLnkChk=Y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