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

언론속의 국민

[아시아경제]강점 강화냐, 약점 보완이냐/이은형(경영학전공) 교수

경영학을 공부하지 않아도 많은 사람들이 아는 '경영분석의 틀'이 있다. 바로 SWOT 분석이라는 것이다. 조직의 외부환경을 분석함으로써 기회(Opportunities)와 위협(Threats)을 파악하고 내부역량을 분석함으로써 강점(Strengths)과 약점(Weaknesses)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물론 외부환경에 민감하고, 그리고 정확하게 대응함으로써 경쟁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외부환경에 잘 대응하려면 내부 역량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가장 좋은 것은 외부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강점을 더욱 강화하고, 동시에 약점도 보완하는 전략이다. 시간, 자금, 노력 등 자원이 풍부할 때는 강점 강화 및 약점 보완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하지만 대개는 자원이 풍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두 가지를 동시에 추구하다가는 초점이 흐려지고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한 가지를 선택하게 된다. 그렇다면 강점을 강화할 것이냐 약점을 보완할 것이냐,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개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은 '취업전략'을 세우는 데 있어 자신의 강점을 강화해 돋보이게 할 것인지, 약점을 보완해 경쟁자보다 우위를 점할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학생들이 조언을 구해오는 경우 나는 강점을 강화하는 방향을 권유하는 편이다. 강점을 강화하는 것은 약점을 보완하는 것보다 자원투입이 적은 데다가 효과가 더 뚜렷하기 때문이다. 약점을 보완하는 것은 단기간에 효과를 보기 어려우므로 장기적 과제로 추진하는 것이 낫다.
 
이명박정부는 집권 후반기의 키워드로 '공정사회'를 내세웠다.
 
집권 전반기에 내세웠던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치가 이명박정부의 강점을 강화하는 전략이라면 '공정사회'는 약점을 보완하려는 것처럼 보인다. '능력' '실용' '성장' 등에 더 가치를 두었던 데서 '정의' '공정성' 등으로 무게 중심을 옮기려 시도한 것이다. 그런데 이명박정부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해 보건데, 의제설정을 '공정'으로 삼는 것은 상당한 리스크를 수반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명박정부를 평가할 때 '정의'나 '도덕성' 등의 잣대를 댈 경우 후한 점수를 주기 어렵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총리 및 장관 후보 3명이 '공정사회'의 기치에 먹칠을 한 것으로 평가됐고 후보에서 물러나야 했다. 이후 '공정사회'의 기치는 정부의 발목을 잡는 '족쇄'가 됐다. 유명환 전 외교부장관의 딸이 특채되는 과정이 밝혀지면서 '공정사회'는 또 한 번 굴욕을 당해야 했다. 총리후보는 좀처럼 결정하기 어려울 것이다. 능력을 택하자니 도덕성이 문제가 되고, 흠결 없는 사람을 찾자니 능력의 문제가 제기되는 딜레마도 겪을 것이다. 또 총리후보로 거론되는 사람들의 '청문회 공포증'도 대단하다고 한다. '공정사회'라는 슬로건이 사람들의 뇌리에 깊이 새겨져 있는 상황이라 더욱 겁이 날 것이다.
 
요즘 최고의 베스트셀러는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의 '정의란 무엇인가'라고 한다. 근본적인 문제를 정치, 경제, 사회, 인문 등 다각도의 접근으로 제기하고 풀어낸다. 이 책이 30만부나 팔리는 놀라운 성과를 내자 마이클 샌델 교수는 "한국사회가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폭넓은 논의를 필요로 하는 것 같다"고 해석했다.
 
이제 다시 선택의 기로에 섰다. 한국 사회가 관심을 갖는 '정의'에 대해 화답하는 의제를 설정한 만큼 철저하고 광범위하게 개혁을 실행하고 공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을 할 것인가. 아니면 이를 포기하고 강점을 강화하는 전략으로 선회할 것인가.

원문보기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91410514437812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