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디자인경제] 공감경제학 / 장기민(디자인대학원 19) 학생 | |||
---|---|---|---|
미국의 저스틴지냑 이라는 사람은 2001년부터 뉴욕 길거리에 있는 쓰레기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돈으로 약 5만원에서 10만원 즈음의 가격으로 판매를 하는데 전 세계 수많은 나라의 수많은 사람들이 이 쓰레기를 구입했다. ‘Garbage of New york city(뉴욕의 쓰레기)’라 이름 붙여진 이 상품은 투명 아크릴 케이스에 담겨져 특별한 의미로 탈바꿈해 여러 나라의 구매자들에게 배송된다. 미국을 대표하는 도시인 뉴욕을 추억하고 싶은 사람들부터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뉴욕을 경험해 보고자 하는 사람들이 이 상품의 가치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였고 이를 통해 쓰레기를 돈 주고 구매하는 일종의 쓰레기 경제활동이 시작되었다. 세계적인 브랜드가 된 가방 프라이탁은 버려질 트럭 방수포를 재활용하여 가방을 만들었고, 본산지인 유럽을 넘어 트렌드에 민감한 미국 뉴욕으로까지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버려질 쓰레기 소재를 이용하여 세상 단 하나뿐인 디자인인 ‘내 가방’이 제작된다는 아이디어는 쓰레기라는 편견을 넘어선 어떤 강한 에너지가 내재되어 있음이 분명해 보인다. ‘월간 이슬아’의 이슬아 작가는 한 달에 1만원의 구독료를 받고 자신이 쓰는 글을 매일저녁 독자들에게 이메일로 보내며 소규모 구독경제를 실현했다. 그녀의 홍보 포스터를 보면 "아무도 안 청탁했지만 쓴다!" "태산 같은 학자금 대출! 티끌모아 갚는다, 아자!" 등의 재밌는 문구가 눈에 들어온다. 대학을 졸업하는 동시에 학자금 대출 2,500만원을 갚으라는 문자를 받게 된 그녀는 기자, 교사, 누드모델 등 닥치는 대로 많은 일을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벗어날 수 없는 학자금 채무의 늪에서 벗어나고자 나름의 묘안을 짰다고 한다. 이러한 그녀의 진심어린 스토리는 많은 대중들로부터 공감을 불러오기에 충분했고, 매일 자정 무렵 이메일로 배달되는 그녀의 수필 속 거침없는 표현들은 독자들에게 공감의 영역과 해방감을 동시에 안겨주었다. ‘인맥보다 강력한 네트워킹의 힘’ 저자 재닌가너는 모임에서 단순히 명함을 돌리는 것만으로 네트워킹이 형성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자신의 본모습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사람을 대할 때 진정한 네트워크가 형성되며, 그들과 교류하고 속 깊은 이야기를 나누며함께 성장하고 성공할 수 있다고 한다. 진정한 공감의 작용이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개인의 생활에도 이로운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넷플릭스는 회원가입 당시 좋아하는 영화를 몇 개만 골라놓으면 그 이후로 큰 노력을 하지 않아도 내 취향에 맞는 추천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준다. 점점 개인화 되어 가는 초 밀착·초 맞춤형 서비스는 고객을 분석의 대학으로 삼던 시대를 넘어 공감의 대상으로 발전 시켜왔다. 이제 그런 서비스는 고객 각자가 존중 받고 있다고 여기게끔 초 개인화되어 까다로운 개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나가고 있다. 재닌가너는 네트워킹을 시도할 때에 먼저 스스로에 대해 말하면서 시작하는 행동을 큰 실수로 지적한다. 또한 본인이 무슨 말을 할지에 대한 고민을 너무 깊게 한 나머지 상대의 말을 경청하지 못하는 자세 또한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더 잘 들어주고 더 공감해주는 상대에게 조금이라도 마음이 더 갈 수 밖에 없는 세상의 이치. 어쩌면 너무도 당연한 해답을 앞에 두고 우리는 개인의 관계와 비즈니스의 모든 영역에서 막연한 걱정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한번 쯤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장기민 디자인경제연구소장, 칼럼니스트
※ 게재한 콘텐츠(기사)는 언론사에 기고한 개인의 저작물로 국민대학교의 견해가 아님을 안내합니다 ※ 이 기사는 '뉴스콘텐츠 저작권 계약'으로 저작권을 확보하여 게재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