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

언론속의 국민

삼성, 교보생명 등 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대학 교육도 이에 발맞춰야 할 때" / 방혜진(경영학부) 교수

나스미디어는 최근 발표한 '2022 디지털 미디어 및 마케팅 트렌드 전망'을 통해 국내 광고 시장이 전년 대비 4% 가량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는 한편, 디지털 광고 시장은 전년대비 8.8% 성장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의 약 52% 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2년간 코로나19로 인해 빠르게 확산된 언택트 문화는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경험하는 방식을 현저히 변화시켰고, 이는 모바일 마케팅, 라이브 커머스, 메타버스와 같은 새로운 디지털 환경 및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성장시키며 전체 디지털 마케팅 시장을 견인했다.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 디지털마케팅전공 주임교수 방혜진


디지털 마케팅 시장의 성장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의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기반을 두기도 하지만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을 겪은 기업들이 마케팅 예산을 삭감하며 '저비용 고효율' 마케팅을 요구함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디지털 마케팅이 약속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 행동 및 수요 예측'과 '측정 가능한 객관적 성과'는 기업의 입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지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마케팅 산업이 디지털 매체를 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디지털 마케팅 인력에 대한 수요는 필연적이다. 이에 서울시, 경기도 등의 지방자치단체 뿐만 아니라 국·내외의 기업들 역시 디지털 마케팅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파악하고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등 디지털 전문인재 육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


가령 삼성의 경우 삼성금융연수원의 주도하에 최고 수준의 디지털 종합역량을 보유한 내부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올해 4월부터 '삼성금융사 디지털 전략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과정은 국민대학교 및 투이컨설팅과의 산학협력을 통해 개발된 과정으로 점차 가속화되는 디지털 금융 경쟁에 대비하기 위한 삼성의 노력으로 해석된다. 뿐만 아니라 교보생명 역시 올 6월부터 시작되는 '디지털 전환 번역가'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전 조직원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같이 산업의 추세에 따라 지자체 및 기업 차원에서 디지털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이 계속 되고 있지만 국내 대학 차원의 교육은 아직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컬럼비아 대학, 코넬 대학, 노스웨스턴 대학 등 여러 해외 유수 대학이 디지털 마케터 양성을 위한 온·오프라인의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국내 대학 차원에서의 디지털 전환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의 디지털로의 전환은 코로나19의 등장과 함께 그 시기가 약 10년 가량 앞당겨졌다고 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디지털 뉴딜 정책을 내놓고, 기업은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박차를 가하고 있는 만큼 대학 교육 역시 이에 발맞춰 나가기를 기대해 본다.
 

 

※ 이 기사는 '뉴스콘텐츠 저작권 계약'으로 저작권을 확보하여 게재하였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