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 건강한 산림, 지속가능한 숲 가꾸기[문화논단] / 남성현(임산생명공학과) 석좌교수 | |||
|---|---|---|---|
|
남성현 국민대 석좌교수, 前 산림청장
대형산불이 발생할 때마다 ‘침엽수림이 산불 확산의 원인’이라는 주장과 ‘산불 피해지 복구 복원방법’에 대한 논쟁이 계속된다. ‘산림녹화는 성공했으나, 쓸만한 나무가 별로 없다.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고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수종(樹種)으로 바꿔 나갈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끊임없이 나온다.
우리나라는 황폐해진 산지를 조기에 녹화하기 위해, 1970∼1980년대에 ‘치산녹화계획’을 세워 주로 아까시나무, 리기다소나무, 사방오리나무 등을 심었다.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고 토양을 비옥하게 해주는 나무들이다. 이후에는 지역별로 부가가치가 높은 잣나무·낙엽송·소나무·백합나무·편백 등으로 점차 바꿔나갔다. 그동안 약 145억 그루의 나무를 심어, 지난 50여 년간 약 30배가 늘었다. 지난 4월에는 ‘산림녹화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는 영예를 안았다. 우리 숲은 나무 심기와 자연 천이(遷移) 등을 통해 △침엽수림 38.8% △활엽수림 33.4%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인 혼합림 28.1%로 분포돼 있다. 숲의 가치는 총 408조 원으로, 경제적 가치는 산림산업 규모 149조 원(2023), 공익적 가치 259조 원(2020)으로 각각 평가된다.
산불 확산의 원인으로 지적되는 ‘소나무림’은 전체 산림의 약 25%다. 소나무림 중 약 7%가 심은 나무이고, 나머지 93%는 자연발생적으로 자란 나무다.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고 햇빛을 좋아하는 나무다. 지역적으로는 백두대간, 강원도와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분포돼 있다. 토양과 기후 등이 소나무가 잘 자랄 수 있는 최적 조건이기 때문이다. 소나무는 우리나라 고유의 ‘자생 수종’이다. 산림 소유자의 고(高)소득원이 되는 송이버섯의 생산 기반이기도 하다. 송진이 많아 산불에는 취약하다.
소나무를 다른 수종으로 바꿔 나가려면 산지의 토양, 입지 여건, 소유 구조(사유림이 66%)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그동안 대형산불 피해지역을 복구 복원할 경우 산림 소유자, 지자체, 지역 주민, 산림과 환경 전문가 등으로 ‘협의체’를 구성해 현장 여건과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왔다. 지역에 따라 나무를 심는 ‘인공복구’와 지역의 자생 수종으로 복원하는 ‘생태복원’, 그리고 피해지를 그대로 두는 ‘자연복원’ 방식을 추진해 왔다. 복구·복원지에 대해 국립산림과학원 등 전문기관에서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지난 10일부터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기후변화 당사국총회(COP30)에서 ‘통합산불관리 및 산불회복력 선언문’(선언문)이 채택됐다. 앞으로 유엔 회원국들의 산불 피해지역은 생태계 서비스를 회복시키고, 토착 식생을 복원하되 지속가능성, 식량안보, 바이오 경제와 생태·문화·사회적 기능 회복에 초점을 두도록 했다. 우리나라도 그동안의 경험 등을 토대로 장단점을 분석해 ‘선언문’에 부합할 수 있도록 산불피해지를 복구·복원해야 할 것이다.
그동안 선진국을 중심으로 지구촌에서 추진해 온 ‘침엽수 위주의 나무 심기 정책’이 전환기를 맞고 있다. 기후위기 시대에 ‘숲의 구조와 관리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숲이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는 자원이 되고, 생물 다양성 등 환경적으로 건강한 생태계가 되려면 30년 이상을 기다려야 한다. 긴 안목을 가지고 치밀하게 중장기 정책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산림자원 순환경영’에 필요한 모든 정책을 어떻게 전환해야 할지 집단지성을 통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 ‘치산치수(治山治水)는 국정의 근본이요 백년대계(百年大計)다’라는 말을 곰곰 되새겨야 할 때다.
|





















